명령어 9

Git) Git 원격 저장소 연결 해제 방법

프로젝트 폴더에 연결된 Git 원격 저장소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git remote -v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내 프로젝트 폴더에 연결된 원격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결을 해제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git remote remove origin 명령어를 입력한 뒤, 다시 git remote -v를 입력하면 아무 것도 나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해제) 참고) https://ifuwanna.tistory.com/263

Linux) WSL2 로 만든 프로젝트 폴더 경로 궁금할 때 (명령어)

WSL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이용하면 확실히 빠르고 좋다. 하지만 터미널로만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탐색기를 통해서 접근했으면 할 때, 아래의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explorer.exe . 탐색기가 열리면서, 나의 프로젝트를 window 탐색기로 볼 수 있다. 명령어만으로 파일 및 폴더를 생성하거나 삭제하지 않아도 된다. 파일 이동도 편리하다!

Environment/Linux 2022.10.07

Git & Github) Git CLI로 Branch 삭제하기 (로컬, 원격)

git branch -a 터미널에 위의 코드를 입력하면, 현재 나의 데스크탑에 있는 로컬 Branch와 Github 등의 사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원격 Branch의 모든 목록들이 나온다. 빨간색 글씨로 나온 것이 원격 Branch이며, 나머지 하얀색과 초록색이 로컬 Branch이다. 현재 위치한 Branch는 별 기호와 함께 초록색으로 나타난다 1) 로컬 Branch 삭제 git branch -d 로컬 Branch는 간단하다. 위 코드를 입력하면 되며, 직관적으로도 이해가 된다. 삭제 후 다시 git branch -a 를 입력해보면 (또는 git branch -l) 삭제된 것을 볼 수 있다. 2) 원격 Branch 삭제 원격 Branch의 삭제 코드는 아래와 같다. git push origin --del..

Git) Commit 수정하기(Amend) + git status

Commit 수정은 가장 최신의 Commit만 가능하다. Amending Commits) 실습을 통해 살펴본다.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여 push했다. 그런데 파일명을 main story.txt에서 amend.txt로 바꾸려 했는데, 깜빡했다. 새로 파일명을 바꿔서 올릴 수도 있겠지만 비효율적이다. 이를 수정해보자. 일단 바꾸고자 하는 내용을 수정하고 git add . 를 한 뒤, git commit --amend --no-edit commit 메세지는 수정하지 않는다. 수정하고 싶으면 --no-edit 대신 -m "메세지" 를 입력하면 된다. 수정하고 push를 하면, 수정한 내역이 기존의 최신 commit 에 반영되었다 Git Status) git status >>>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의 상태를 알 ..

Git) Branch 생성하기 + Merge 취소

이전에 배운 Checkout을 활용한다. 특정 지점에서의 branch 생성을 원하는 경우, 해당 Commit을 checkout 을 통해 돌아간 뒤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현재 지점에서의 생성을 원한다면 바로 입력한다. git checkout -b ( -b 옵션을 넣으면 Branch 생성과 전환을 한번에 실행할 수 있다.) 특정 지점에서의 branch 생성을 원하는 경우의 과정은, 아래 코드로 한 번에 실행할 수도 있다. git checkout -b 새로 생성한 branch를 github에 올리려면, git push origin 위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참고로 branch를 전환하려면, git checkout -b 에서 -b 옵션만 빼면 된다. ex) git checkout main + Merge 취..

Git) Git Reset (Checkout, Hard, Mixed, Soft)

시작하기 전 주의사항: Git CLI로 작업할 때에는, 항상 작업 디렉터리에 있어야 한다. 다른 곳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하면 골치 아픈 일이 벌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미 골치 아픈 일이 벌어졌거나, 이전의 시점으로 프로젝트를 되돌리고 싶다면 Reset이 필요하다. 1) Checkout 실습으로 진행해본다. 한 줄씩 라인을 작성하고 있는데, 두 번째 라인을 완성시킨 시점에서 첫 번째 라인만 작성했던 commit으로 되돌아 가고 싶다. git log에서의 HEAD는 모든 Commit이 합쳐진 파일의 현재 위치이다. HEAD의 위치를 다른 commit으로 바꾼다면, 그 위치가 현재 파일의 위치가 되는 원리이다. checkout은 HEAD의 위치를 다른 commit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git checkou..

Git) Git CLI 기본 사용법(log, commit, push + Tokens)

Git을 Github Desktop이 아닌, Terminal에서 다루는 방법 1) CLI log, commit, push 들어가기 전에, VSC에서 보여주는 기능에 대해 살펴보자. EXPLORER에서 보이는 M이나 파일 행 옆의 파란색 표시는 Modified의 표시로, Git에 올린 파일을 기준으로 내용이 변경되었음을 표현한다. U나 초록색 표시는 Untracked의 표시로, Git에서 아직 해당 파일을 감지, 반영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미등록) git log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History를 터미널에서 본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전에 commit 한 내역들을 한 번에 볼 수 있다. (나오는 방법: q 입력) * 변경된 파일을 push하는 방법(순서) 1) git add (파일명 또는 .)..

Python) Package 한 번에 설치하기

필요 라이브러리가 설치된 프로젝트에서 아래 코드를 입력하면 pip freeze > requirements.txt 해당 프로젝트에 requirements.txt 파일이 생성된다. 해당 패키지를 다른 프로젝트에 설치하고 싶다면,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위의 코드를 입력한다. requirements.txt 파일이 다른 경로에 있다면, 추가해줘야 한다. 참고) - https://hello-bryan.tistory.com/128

Automation/Python 2022.09.24

Linux) Ubuntu 유용한 명령어

쓸 것 같은 기본적인 명령어들만 정리. 참고로, 아래 1번 명령어처럼 ls -i 등의 세부적인 명령어들도 있으나, 간단한 기능들만 사용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복잡한 옵션들은 정리하지 않았다. 1. ls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폴더 또는 파일명들을 보여준다. (폴더명과 파일명은 출력되는 색상이 다르다.) # l (L) 현재 디렉터리명과 그 안에 포함된 파일명들을 보여준다. (숨겨진 파일 포함) 2. cd change directory라는 뜻으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를 변경할 때 사용. * cd , cd ~, cd~/ : 홈 디렉터리로 이동 * cd - : 디렉터리 변경 전으로 이동. (경로 변경을 취소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cd .. : 부모 디렉터리로 이동. (한 단계 상위 경로) * cd / :..

Environment/Linux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