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 24

Git&Github) Github 저장소 및 원격 저장소 이름 변경

Github 저장소에 들어가면 Settings가 있다. 이 곳에서 저장소 이름을 수정하면 된다. 하지만 로컬의 원격 저장소 이름은 수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아래의 과정을 진행한다. git remote -v 위 명령어를 통해 현재의 원격 저장소 이름을 확인한다. 그 후, 바뀐 저장소의 주소를 가져와서 아래의 코드에 넣어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 remote set-url origin # git branch 명 변경 git branch -m 참고) - https://iambeginnerdeveloper.tistory.com/82 - https://www.freecodecamp.org/korean/news/git-rename-branch-how-to-change-a-local-branch-name/

Git&Github) gh-pages 만들기 ... github 무료 웹사이트 배포

결과물을 gh-pages에 올릴 수 있다. 해당 파일들을 무료 웹사이트로 만들어 전세계로 배포할 수 있다. 시작 전, 배포를 원하는 저장소의 공개 범위를 public 으로 설정해야 한다. 1) gh-pages 패키지 설치 npm i gh-pages 또는 yarn add gh-pages 2) package.json에 코드 추가 ... "scripts": { ... "deploy": "gh-pages -d build", "predeploy": "npm run build" }, ... "homepage": "https://(사용자명).github.io/(저장소명)/" 3) 명령어 실행 npm run build npm deploy 또는 yarn build yarn deploy 몇 분 후에 ' https://(사..

Git) Git 원격 저장소 연결 해제 방법

프로젝트 폴더에 연결된 Git 원격 저장소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git remote -v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내 프로젝트 폴더에 연결된 원격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결을 해제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git remote remove origin 명령어를 입력한 뒤, 다시 git remote -v를 입력하면 아무 것도 나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해제) 참고) https://ifuwanna.tistory.com/263

Linux) WSL2 로 만든 프로젝트 폴더 경로 궁금할 때 (명령어)

WSL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이용하면 확실히 빠르고 좋다. 하지만 터미널로만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탐색기를 통해서 접근했으면 할 때, 아래의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explorer.exe . 탐색기가 열리면서, 나의 프로젝트를 window 탐색기로 볼 수 있다. 명령어만으로 파일 및 폴더를 생성하거나 삭제하지 않아도 된다. 파일 이동도 편리하다!

Environment/Linux 2022.10.07

Git & Github) Git CLI로 Branch 삭제하기 (로컬, 원격)

git branch -a 터미널에 위의 코드를 입력하면, 현재 나의 데스크탑에 있는 로컬 Branch와 Github 등의 사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원격 Branch의 모든 목록들이 나온다. 빨간색 글씨로 나온 것이 원격 Branch이며, 나머지 하얀색과 초록색이 로컬 Branch이다. 현재 위치한 Branch는 별 기호와 함께 초록색으로 나타난다 1) 로컬 Branch 삭제 git branch -d 로컬 Branch는 간단하다. 위 코드를 입력하면 되며, 직관적으로도 이해가 된다. 삭제 후 다시 git branch -a 를 입력해보면 (또는 git branch -l) 삭제된 것을 볼 수 있다. 2) 원격 Branch 삭제 원격 Branch의 삭제 코드는 아래와 같다. git push origin --del..

Linux) WSL2 기본 시작 디렉터리(홈 디렉터리) 변경하기 (Windows Terminal)

Windows Terminal을 이용할 때, 시작 디렉터리가 원하는 위치에서 시작하지 않아서 매번 change directory를 통해 나의 프로젝트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찾아봤다. 위 이미지의 번호 순서대로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1) 새 탭 버튼 옆의 버튼을 누른다. 2) 설정을 누른다. 3) WSL을 누른다. 4) '시작 디렉터리'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의 우측 버튼을 누른다. 5) 원하는 디렉터리를 입력한다. (★Point★) //wsl$/Ubuntu-//// ~~~ 뭔가 난잡해보이겠지만, 추가 예시로 설명하자면 나의 Ubuntu 버전은 18.04.05 LTS 이고 home/OhFruits/linux 라는 폴더에서 시작하고 싶다면 >> //wsl$/Ubuntu-18.04/home/OhFru..

Environment/Linux 2022.10.07

Git & Github) Git CLI로 프로젝트와 Github 저장소를 연동하는 방법

1) 새롭게 프로젝트 폴더와 Github 저장소를 생성했을 때 빨간색 박스 안의 코드들을 실행해주면 된다. echo "# " >> README.md git init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git git push -u origin main 2) 이미 작업 중인 폴더가 있을 때 주황색 박스 안의 코드들을 실행해주면 된다. 코드의 내용을 보아하니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고 main branch 생성만 push 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코드들까지 push 하려면 git add - git commit - git push 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Git) Commit 수정하기(Amend) + git status

Commit 수정은 가장 최신의 Commit만 가능하다. Amending Commits) 실습을 통해 살펴본다.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여 push했다. 그런데 파일명을 main story.txt에서 amend.txt로 바꾸려 했는데, 깜빡했다. 새로 파일명을 바꿔서 올릴 수도 있겠지만 비효율적이다. 이를 수정해보자. 일단 바꾸고자 하는 내용을 수정하고 git add . 를 한 뒤, git commit --amend --no-edit commit 메세지는 수정하지 않는다. 수정하고 싶으면 --no-edit 대신 -m "메세지" 를 입력하면 된다. 수정하고 push를 하면, 수정한 내역이 기존의 최신 commit 에 반영되었다 Git Status) git status >>>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의 상태를 알 ..